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전승일 AI 애니메이션 강좌] AI를 활용한 애니메이션 제작 (기초과정)

전승일_소셜미디어아트

by 미메시스TV 2025. 1. 29. 02:08

본문

전승일 감독 프로필

 

AI를 활용한 애니메이션 제작 (기초과정)

국내외 200여 영화제에서 인정받은 전승일 감독과 함께, AI를 활용한 애니메이션 제작의 세계로 들어가보세요.

독립애니메이션부터 AI 영화, 미디어아트까지 30년간의 창작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시대의 애니메이션 제작 방법을 배우게 됩니다.

이 4주 과정에서는 AI 애니메이션의 기초부터 실전 제작, 그리고 미래 가능성까지 살펴봅니다. 첫 주에는 AI 애니메이션의 핵심 원리와 특징을 이해하고, 감독의 최신작 <Sensitive Generation>, <Tree>, <DESTROY> 등을 통해 실제 제작 사례를 살펴봅니다.

2주차에서는 KLING, Runway, Hailuo 등 주요 AI 영상 생성 도구들의 활용법을 배우고, 3주차에는 자신만의 작품을 AI 애니메이션으로 구현하는 두 가지 방식을 실습합니다. 마지막 주에는 AI 애니메이션이 가져올 예술의 확장 가능성과 미래를 탐구합니다.

 

■ 커리큘럼

1주차: AI 애니메이션의 특징과 제작원리

           전승일 감독 AI 애니메이션 창작방법 소개

<Sensitive Generation>, <Tree>, <DESTRORY>

<노동자 연작>, <탄핵 탄핵>, <시왕도十王圖>

<AI Colonialism 연작>, <수원문화재단 AI 미디어아트> 외

 

2주차: 주요 AI video generator 알아보기

KLING, Runway, Hailuo, KREA, Veo2 외

image to video 기술 활용방법

 

3주차: AI 애니메이션 제작의 두가지 방법

오리지널 아트 제너레이션 - 자신의 작품(사진, 그림, 그래픽 이미지 준비)

AI 이미지 제너레이션 - OpenArt AI 사용방법

 

4주차: AI 애니메이션의 확장 가능성 모색

디지털 헤리티지, 전통문화유산, 플랫폼

어린이, 가족, 사회배려자, 시민 미디어 체험교육

퍼블릭 도메인, 소셜미디어아트, 이머시브 아트

AI 기술활용 예술의 확장과 융합, 공연예술, 저항과 진보미학

 

■ 온라인 강좌 

구글폼

https://forms.gle/xegUw6J9KCBvgPr88

수강신청하시고 수강료 입금하시면 단톡방에 초대됩니다

 

개강: 2025년 2월 14일(금) (주1회 4회차 강의)

시간: 06:30~08:30pm

장소: Zoom 온라인

강의: 전승일 (독립애니메이션 감독)

주최: 오토마타 공작소 www.iloveautomata.com

수강료: 10만원

입금계좌: 신한 110-342-530-602

문의: 010-5267-7954 / aniexe@daum.net

 

■ 오프라인 강좌

개강: 2025년 2월 28일(금) (주1회 4회차 강의)

장소: 오피스아트 영등포구청점

강의: 전승일 (독립애니메이션 감독)

주최: 한국스마트협동조합 www.kosmart.co.kr

수강료: 10만원

문의: 010-6424-8227(서인형 이사장) / ceo@kosmart.org

 

오프라인 강좌 신청하기

 

엘리자베스 키스(Elizabeth Keith) <New Year's Shopping, Seoul>(1921)

영국 화가 엘리자베스 키스 수채화 <New Year's Shopping>(1921)으로 만든 AI 애니메이션.

꽤 그럴듯하지만 여전히 넌센스가 있습니다. 왜 그럴까요?

AI로 디지털 헤리티지(Digital heritage)가 가능할까요?

AI 애니메이션은 기존 디지털 애니메이션과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엘리자베스 키스(Elizabeth Keith) <Two Korean Children>(1940)

영국 화가 엘리자베스 키스(Elizabeth Keith, 1887~1956)의 그림으로 만든 AI 애니메이션

AI로 디지털 헤리티지(Digital heritage)가 가능할까요?

AI 애니메이션은 기존 디지털 애니메이션과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스톡사진 (원작자: Ibragimov / 출처: https://motionarray.com)

모션어레이에서 다운받은 스톡사진으로 만든 AI 애니메이션

소셜미디어와 Web 3.0 시대. 사진과 애니메이션은 어떻게 융합하고 어떻게 새롭게 소통될수 있을까요?

 

엘리자베스 키스(Elizabeth Keith) 그림 <New Year's Shopping>(1921)

영국 화가 엘리자베스 키스(Elizabeth Keith, 1887~1956)의 그림으로 만든 AI 애니메이션

AI로 디지털 헤리티지(Digital heritage)가 가능할까요?

AI 애니메이션은 기존 디지털 애니메이션과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스톡사진 (원작자: Ibragimov / 출처: https://motionarray.com)

Ibragimov 작가가 모션어레이에 올린 스톡그래픽으로 만든 AI 애니메이션

언뜻보면 그럴듯하지만 원본 작품의 특징이 점차 사라집니다.

왜 그럴까요? AI 영상은 왜 대부분 그럴듯할까요?

 

빅토르 데니(Viktor Deni) 포스터 <Capital>

러시아의 풍자만화가 빅토르 데니(Viktor Deni)의 포스터 <Capital>로 만든 AI 애니메이션

작가의 작품 원본에서 출발하는 '오리지널 아트 제너레이션(Original Art Generation)' 창작방법입니다.

AI로 '카운터 컬처'가 가능할까요?

 

김경렬 화백 그림

 

회화와 AI 기술은 어떻게 만날수 있을까요?

AI 애니메이션 <Tree>의 원작자 김경렬 화백의 그림으로 만든 AI 애니메이션

작가의 작품 원본에서 출발하는 '오리지널 아트 제너레이션(Original Art Generation)' 창작방법입니다.

AI 기술을 활용한 미술의 확장성과 미디어아트에 대해서 탐구합니다.

 

김경렬 화백 그림
김경렬 화백 그림 <서울로미디어캔버스> 상영용 미디어아트 스틸컷

회화와 AI 기술은 어떻게 만날수 있을까요?

AI 애니메이션 <Tree>의 원작자 김경렬 화백의 그림으로 만든 야외스크린 상영용 미디어아트

작가의 작품 원본에서 출발하는 '오리지널 아트 제너레이션(Original Art Generation)' 창작방법입니다.

AI 기술을 활용한 미술의 확장성과 미디어아트에 대해서 탐구합니다.

 

스톡사진 (출처: 모션어레이 https://motionarray.com/)

이 "AI 동영상"은 '실사(實寫, live action) 영상'일까요?

사진은 AI로 '생성'한 이미지가 아니라, 실제 여성을 촬영한 스톡사진이고

움직임은 카메라로 촬영한게 아니라, AI로 제너레이션 했습니다.

따라서 이 영상은 '라이브액션'이 아니라 사진으로 만든 'AI 애니메이션'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55년전 전승일 사진

55년전 제 사진으로 만든 AI 비디오

사진으로 만들었지만 촬영한 라이브액션이 아니므로 이건 'AI generative animation'입니다.

왜 그럴까요?

 

이인철 작가님 3D 그래픽 작품

이인철 작가님 3D 그래픽 작품으로 만든 AI 애니메이션

 

Philip Henry Gosse 그림 <The Ancient Wrasse>(1856)

AI 기술을 활용한 예술작업에서 저작권 이슈는 아주 중요합니다.

필립 헨리 고스(Philip Henry Gosse) 그림 <The Ancient Wrasse>(1856)으로 만든 AI 애니메이션.

퍼블릭 도메인(public domain) 이미지입니다.

인터넷 데이터로 알고리즘으로 생성하는 AI 예술은 과연 정당한 방법일까요?

 

관련글 더보기